전체 글

-
조건문 조건문이란 조건의 참, 거짓 여부에 따라 실행할 코드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조건문 - if문 if문에서는 if 다음의 조건식이 참일 때 if문 안의 코드가 실행된다. 예제를 통해 이해해 보자. 내가 사고 싶은 위시리스트 상품이 10000원, 가지고 있는 돈이 20000원인 상태라고 가정해 보았다. if문의 조건에서 가지고 있는 돈이 사고 싶은 상품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잔돈을 표시하고 구매 완료라는 안내 문구가 적혀있는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였다. 당연히 20000원은 10000원보다 크기 때문에 조건은 참이 되고, 위 if문 안의 코드가 실행된다. 그렇다면 이 코드에서 만약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if문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if문이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콘솔에는 아무것도 뜨지 않게 ..
[Java] 조건문 - if문 / if-else(if)문 / 중첩 if문조건문 조건문이란 조건의 참, 거짓 여부에 따라 실행할 코드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조건문 - if문 if문에서는 if 다음의 조건식이 참일 때 if문 안의 코드가 실행된다. 예제를 통해 이해해 보자. 내가 사고 싶은 위시리스트 상품이 10000원, 가지고 있는 돈이 20000원인 상태라고 가정해 보았다. if문의 조건에서 가지고 있는 돈이 사고 싶은 상품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잔돈을 표시하고 구매 완료라는 안내 문구가 적혀있는 코드가 실행되도록 하였다. 당연히 20000원은 10000원보다 크기 때문에 조건은 참이 되고, 위 if문 안의 코드가 실행된다. 그렇다면 이 코드에서 만약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if문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if문이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콘솔에는 아무것도 뜨지 않게 ..
2023.10.29 -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이란 컬럼이 저장되는 데이터 유형을 말한다. 컬럼의 속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종류는 크게 문자, 숫자, 날짜로 나뉘고, 그 외로 LOB 타입이 있다. 문자 데이터 타입 이름 설명 CHAR(크기 (BYTE/CHAR)) 고정길이 문자 VARCHAR2 (크기 (BYTE/CHAR)) 가변길이 문자 NCHAR (크기) 고정길이 유니코드 문자(다국어 입력 가능) NVARCHAR2 (크기) 가변길이 유니코드 문자(다국어 입력 가능) 고정길이 문자와 가변길이 문자의 차이는, 고정길이 문자는 크기를 정하면 그보다 작은 크기의 문자를 저장해도 기존에 설정한 크기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크기를 5BYTE로 정의하고 크기가 3BYTE인 'ABC'라는 문자를 저장했을 때, 실제 용량은 5BYTE를 차..
[Database] 데이터 타입(속성)의 종류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이란 컬럼이 저장되는 데이터 유형을 말한다. 컬럼의 속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종류는 크게 문자, 숫자, 날짜로 나뉘고, 그 외로 LOB 타입이 있다. 문자 데이터 타입 이름 설명 CHAR(크기 (BYTE/CHAR)) 고정길이 문자 VARCHAR2 (크기 (BYTE/CHAR)) 가변길이 문자 NCHAR (크기) 고정길이 유니코드 문자(다국어 입력 가능) NVARCHAR2 (크기) 가변길이 유니코드 문자(다국어 입력 가능) 고정길이 문자와 가변길이 문자의 차이는, 고정길이 문자는 크기를 정하면 그보다 작은 크기의 문자를 저장해도 기존에 설정한 크기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크기를 5BYTE로 정의하고 크기가 3BYTE인 'ABC'라는 문자를 저장했을 때, 실제 용량은 5BYTE를 차..
2023.10.21 -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DDL이란 데이터 정의어로, 테이블에 대해 정의하는 명령어들을 말한다. 종류는 크게 테이블 생성(Create), 테이블 삭제(Drop), 테이블 이름 변경(Rename), 테이블(컬럼) 수정(Alter)로 나뉜다.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DML이란 데이터 조작어로, 튜플에 대해 정의하는 명령어들을 말한다. 종류는 크게 튜플 삽입(Insert), 튜플 삭제(Delete), 튜플 수정(Update), 튜플 조회(Select)로 나뉜다. CRUD가 이 DML을 의미한다. Create = Insert Read = Select Update = Update Delete = Delete DCL (Data Control Lang..
[Database] DDL, DML, DCL이란?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DDL이란 데이터 정의어로, 테이블에 대해 정의하는 명령어들을 말한다. 종류는 크게 테이블 생성(Create), 테이블 삭제(Drop), 테이블 이름 변경(Rename), 테이블(컬럼) 수정(Alter)로 나뉜다.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DML이란 데이터 조작어로, 튜플에 대해 정의하는 명령어들을 말한다. 종류는 크게 튜플 삽입(Insert), 튜플 삭제(Delete), 튜플 수정(Update), 튜플 조회(Select)로 나뉜다. CRUD가 이 DML을 의미한다. Create = Insert Read = Select Update = Update Delete = Delete DCL (Data Control Lang..
2023.10.17 -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이란 현실 세계 데이터를 테이블로 설계하는 것이다. 데이터 모델링을 하는 방법은 ERD를 그려서 모델링 후 테이블을 유추하는 것이다. 요구사항 분석 요구사항 분석은 개념적 스키마, 논리적 스키마, 물리적 스키마 단계를 거쳐 완료된다. 각각의 스키마 단계에서 ERD, 테이블 정의, 쿼리문 작성이 이루어지는데, 이 게시물은 이 중 ERD가 무엇인지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한다.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 ERD란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도출해 그림으로 그려낸 것이다. 개체란 사람, 사물, 장소, 개념, 사건과 같이 유형 또는 무형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독립적인 실체를 말한다. ERD 표기법은 위와 같다. 표기법을 토대로 작성한..
[Database] 데이터 모델링, 요구사항 분석, ERD란?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이란 현실 세계 데이터를 테이블로 설계하는 것이다. 데이터 모델링을 하는 방법은 ERD를 그려서 모델링 후 테이블을 유추하는 것이다. 요구사항 분석 요구사항 분석은 개념적 스키마, 논리적 스키마, 물리적 스키마 단계를 거쳐 완료된다. 각각의 스키마 단계에서 ERD, 테이블 정의, 쿼리문 작성이 이루어지는데, 이 게시물은 이 중 ERD가 무엇인지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한다.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 ERD란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도출해 그림으로 그려낸 것이다. 개체란 사람, 사물, 장소, 개념, 사건과 같이 유형 또는 무형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독립적인 실체를 말한다. ERD 표기법은 위와 같다. 표기법을 토대로 작성한..
2023.10.17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 저장소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테이블 테이블이란 행과 열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집합이다. 릴레이션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열(column) 컬럼(column) : 테이블의 열을 말한다. 컬럼은 컬럼명과 속성으로 설정한다. 속성(attribute) : 현실세계에 있는 어떤 개체(ent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쉽게 말해 각 열에서 가지는 데이터 성질을 분류해 정의한 카테고리다. 속성은 더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 단위다. 속성의 종류는 문자, 숫자, 날짜가 있다. 도메인(domain) : 하나의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같은 타입의 값들의 집합을 말한다. 속성 값의 합법 여부를 시스템이 검사하는 데 이용된다. 필드(fiel..
[Database] 테이블, 튜플 외 기본 용어 정리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 저장소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테이블 테이블이란 행과 열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집합이다. 릴레이션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열(column) 컬럼(column) : 테이블의 열을 말한다. 컬럼은 컬럼명과 속성으로 설정한다. 속성(attribute) : 현실세계에 있는 어떤 개체(ent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쉽게 말해 각 열에서 가지는 데이터 성질을 분류해 정의한 카테고리다. 속성은 더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 단위다. 속성의 종류는 문자, 숫자, 날짜가 있다. 도메인(domain) : 하나의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같은 타입의 값들의 집합을 말한다. 속성 값의 합법 여부를 시스템이 검사하는 데 이용된다. 필드(fiel..
2023.10.17 -
연산자 연산이란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처리해 결과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산 과정에 사용되는 기호가 연산자, 연산되는 데이터는 피연산자라고 한다. 연산자의 종류는 표와 같은데, 피연산자 수에 따라 단항/이항/삼항 연산자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단항/이항/삼항이라는 것은 피연산자가 1개/2개/3개라는 뜻이다. 연산자의 연산 방향과 우선 순위 연산자의 연산 방향과 우선 순위는 위와 같다. 복합적인 연산식의 경우 소괄호()를 사용하면 괄호 안의 식이 최우선 순위로 인식되어 먼저 계산된다. 대입 연산자가 가장 나중에 실행된다는 점 정도는 기억해 두면 좋다. 연산자 - 부호 연산자 부호 연산자는 음수, 양수를 나타내는 연산자다. 왼쪽 예시와 같이 변수 앞에 +를 사용할 경우 부호가 유지, -를 사용할 경우 부..
[Java] 연산자연산자 연산이란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처리해 결과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산 과정에 사용되는 기호가 연산자, 연산되는 데이터는 피연산자라고 한다. 연산자의 종류는 표와 같은데, 피연산자 수에 따라 단항/이항/삼항 연산자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단항/이항/삼항이라는 것은 피연산자가 1개/2개/3개라는 뜻이다. 연산자의 연산 방향과 우선 순위 연산자의 연산 방향과 우선 순위는 위와 같다. 복합적인 연산식의 경우 소괄호()를 사용하면 괄호 안의 식이 최우선 순위로 인식되어 먼저 계산된다. 대입 연산자가 가장 나중에 실행된다는 점 정도는 기억해 두면 좋다. 연산자 - 부호 연산자 부호 연산자는 음수, 양수를 나타내는 연산자다. 왼쪽 예시와 같이 변수 앞에 +를 사용할 경우 부호가 유지, -를 사용할 경우 부..
2023.09.25 -
형 변환 형 변환이란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형 변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 자동 타입 변환(promotion),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면 강제 타입 변환(casting)이라고 한다. 형 변환 - 자동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은 작은 크기 타입이 큰 크기를 가지는 타입에 저장될 때, 혹은 작은 크기 타입과 큰 크기 타입 간의 연산이 이루어질 때 발생한다. 여기서 타입의 크기를 구분하는 기준은 메모리 크기다. byte정수형 변환이 이루어지면 문자가 해당 문자의 유니코드 정수로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자동 타입 변환에서 하나의 예외가 있는데, 바로 char->byte 타입의 변환이다. 위 예시를 보면 1이라는 값을 가진 byte 타입 변수 one을 선언한 후, char 타입 변수 ..
[Java] 형 변환(데이터 타입 변환)형 변환 형 변환이란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형 변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 자동 타입 변환(promotion),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면 강제 타입 변환(casting)이라고 한다. 형 변환 - 자동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은 작은 크기 타입이 큰 크기를 가지는 타입에 저장될 때, 혹은 작은 크기 타입과 큰 크기 타입 간의 연산이 이루어질 때 발생한다. 여기서 타입의 크기를 구분하는 기준은 메모리 크기다. byte정수형 변환이 이루어지면 문자가 해당 문자의 유니코드 정수로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자동 타입 변환에서 하나의 예외가 있는데, 바로 char->byte 타입의 변환이다. 위 예시를 보면 1이라는 값을 가진 byte 타입 변수 one을 선언한 후, char 타입 변수 ..
2023.09.24 -
데이터 타입이란 데이터 타입이란 변수에 저장할 값의 유형이다. 데이터 타입은 기본 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으로 나뉜다. 기본 타입이란 리터럴, 즉 값을 직접 저장하는 타입을 말한다. 기본 타입은 정수, 실수, 문자, 논리로 나뉜다. 참조 타입의 유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추후 다른 글에서 설명하도록 하고, 현재 알아둘 것은 문자열 타입이다. 문자열 타입(String)은 큰따옴표 안에 묶여 표현된 한 글자 이상의 문자를 말한다. 기본 타입 메모리에는 0과 1을 저장하는 최소 기억 단위인 비트가 있다. 8개의 비트를 묶어서 바이트라고 한다. 바이트 크기가 클수록 표현 값의 범위가 크다. 기본 타입 - 정수 기본 타입 중 정수 타입은 byte, char, sh..
[Java] 자료형(데이터 타입)데이터 타입이란 데이터 타입이란 변수에 저장할 값의 유형이다. 데이터 타입은 기본 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으로 나뉜다. 기본 타입이란 리터럴, 즉 값을 직접 저장하는 타입을 말한다. 기본 타입은 정수, 실수, 문자, 논리로 나뉜다. 참조 타입의 유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추후 다른 글에서 설명하도록 하고, 현재 알아둘 것은 문자열 타입이다. 문자열 타입(String)은 큰따옴표 안에 묶여 표현된 한 글자 이상의 문자를 말한다. 기본 타입 메모리에는 0과 1을 저장하는 최소 기억 단위인 비트가 있다. 8개의 비트를 묶어서 바이트라고 한다. 바이트 크기가 클수록 표현 값의 범위가 크다. 기본 타입 - 정수 기본 타입 중 정수 타입은 byte, char, sh..
2023.09.23